[뉴스포커스] 아파트값 하락세…수도권 10년 만에 최대 낙폭<br /><br /><br />거래절벽과 아파트값 하락세가 동반되고 있는 가운데, 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기준금리까지 또 올라 부동산 거래 시장의 침체가 길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본격적인 가을 이사 철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과 관련 내용들,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한국은행 금통위가 어제 기준금리를 0.25%P 올려 연 2.50%가 됐습니다. 지난달 한 번에 0.5%P를 올리고, 이달까지 4, 5, 7, 8월, 네 차례 연속 인상한 건데요. 기준금리가 이렇게 인상된 것이 전례가 없다 보니 부동산 대출을 받았거나 받아야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체감이 클 것 같아요?<br /><br /> 1년 전 연 0.5%였던 기준금리가 현재 연 2.5%로 1년 새 2%P나 인상된 건데요. 1년 전에 비해 이자 부담이 대략 얼마나 늘어난 건가요?<br /><br /> 은행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가 더해지는 방식이다 보니 대출받은 분들은 이보다 이자가 더 늘어날 텐데요.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6%대인데, 연내 7%대까지 갈 수도 있다고 하더라고요. 원장님께선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 가계대출을 받으신 분들의 대부분이 변동금리인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.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가 더 높아진 상황이라면 고정금리로 갈아타는 것이 좋을까요?<br /><br /> 2년 전 초저금리에서 대출을 받은 분들은 지금 엄청난 이자율로 부담이 크실 텐데요. 금융당국이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기 위해 은행별로 이번 주 월요일부터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작됐습니다. 대출이자 부담이 좀 완화가 될까요?<br /><br /> 그럼 이제 부동산 시장 이야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.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아파트값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요. 금리 인상의 여파라고 봐야 하나요? 현재 아파트값 하락 원인, 어떻게 분석하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얼마 전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당초 주민들이 희망했던 것보다 늦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1기 신도시가 경기도에 있는 아파트들이다 보니 이 부분도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에 영향을 줬을 것 같은데, 1기 신도시 상황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아파트 가격 하락도 문제지만, 일단 아파트 거래량이 엄청나게 줄었다고 하는데요. 현재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?<br /><br /> 부동산 시장에선 거래절벽 현상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요. 정부가 거래 활성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, 어떤 대책이 나올 거라 보시고, 또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앞으로도 기준금리 인상이 추가로 단행될 가능성이 높은데요. 그러다 보니 대출로 집을 구입한 일명 '영끌족'들은 집을 팔아야 할지, 버텨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. 하우스푸어들에게 어떤 조언 해주시겠습니까?<br /><br /> 매매뿐 아니라 전세 물건도 요즘 넘쳐난다고 하는데요. 대출받아 전세를 사느니 차라리 월세를 선택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고요. 이사를 준비하고 있는 분들 중 전·월세를 고민 중에 있다면, 어떤 선택을 하는 게 좋을까요?<br /><br /> 집값 하락에 청약통장 가입자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하는데요.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집 마련하려고 준비하고 계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. 앞으로 집값의 변수로 꼽힐만한 정부의 정책이 있다면 말씀해 주시고, 언제쯤 내 집 마련하면 좋을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